저희 모커리한방병원에서 협착증 발병과 악화에는 근육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여러 번 설명 드렸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협착증 환자는 운동이나 근육재활치료를 통해 근육의 상태를 좋게 만들어주는 게 중요한데요. 이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협착증 환자는 운동이나 근육재활치료를 통해 근육 상태를 좋게 만들어주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좋은 운동으로 근육 상태가 좋아지면 당연히 허리를 더 잘 지지해주니까 신경 눌림도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근육을 튼튼하게 만든다고 근력운동이나 코어운동을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요. 문제는 협착증으로 아픈 사람들이 어떻게 근육을 늘리고 코어근육을 키우느냔 말입니다. 협착증 환자가 근육을 늘리고 코어근육을 키우는 운동을 하려면 힘이 많이 들어가는 무리한 근력운동을 해야 되는데, 협착증 환자들의 몸은 이런 근력운동을 견딜 수가 없는 매우 약하고 문제가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니까 근력운동을 하면 더 아플 가능성이 높은 겁니다. 그래서 실제로 근력운동이나 코어운동을 해서 협착증이 좋아진 사람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증상이 심할수록, 근육이 적을수록 더욱더 근력운동이나 코어운동으로 협착증이 좋아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아주 고령이고 상태가 심한 사람들은 비교적 가벼운 근력운동이라고 생각하는 뒤꿈치 들기 운동, 엉덩이 들기 운동마저도 무리가 되고 하고 나면 더 아프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젊은 50~60대 협착증 환자, 근력이 좀 괜찮은 50~60대의 환자들은 이런 가벼운 근력운동 정도는 해도 특별히 증상이 악화된다는 느낌을 못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근력운동으로 증상이 나빠지지 않는 것과 협착증이 좋아진다는 건 다릅니다.
협착증이 좋아진다는 건 걸을 때 다리가 덜 아프고 통증 없이 걸을 수 있는 거리가 늘어나는 것입니다. 그런데 ‘저는 근력운동을 해도 괜찮던데요’라고 하시는 분들은 근력운동을 열심히 해서 협착증 증상이 조금이라도 좋아졌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열심히 해도 협착증이 좋아지지 않은 운동을 매일 애써서 할 필요는 없지 않습니까?
그럼 협착증 환자는 어떤 운동을 해야 할까요? 일단은 아픈 게 가장 큰 문제이기 때문에 가벼운 운동을 통해 뭉치고 뒤틀리고 기능이 떨어져있는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게 먼저입니다. 이런 운동이 바로 저희가 가르쳐드린 누워서 하는 4가지 운동, 집 안에서 안 아플 정도만 걷기 이 두 가지 운동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 두 가지 운동이 진짜 협착증 증상이 조금이라도 좋아질 수 있는 운동이지 근력운동이나 코어운동으로 협착증이 좋아지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간혹 이 운동들이 언뜻 보기에 너무 가벼워 보여서 이 운동만 하면 근육이 빠지고 근력이 달아날까 봐 걱정하시는 분들 있는데, 전혀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이 두 가지 운동만 열심히 해도 근육과 근력이 잘 유지되니까 저희를 믿고 열심히 해보시길 바랍니다.
아래 50명의 협착증 환자 비수술 치료후기 영상을 한번 보세요. 이분들이 근육신경재활치료와 함께 병행했던 운동이 바로 말씀 드린 두 가지 운동입니다. 아래에서 이분들의 영상을 보시길 바랍니다.
모커리 척추관협착증 ABCDE 한·양방 협진 재활치료법은 수술 없이 협착증을 치료하는 모커리 고유의 비수술 치료방법입니다. 한쪽 다리의 통증만 있는 초기 협착증부터 다리에 힘이 빠지고 몇 걸음 걷지 못하는 말기 협착증까지 ABCDE 척추관협착증 비수술 치료법으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모커리는 수준 높은 임상연구를 통하여 말기 협착증 환자가 ABCDE 재활치료로 통증 없이 걷는 거리가 11배 증가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증명하여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보다 많은 환자분들과 건강정보를 공유하고자 개방형 게시판으로 건강상담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목과 허리 통증•디스크•협착증•교통사고•어깨•무릎 등 궁금하신 질문을 남겨주시면 전문의가 최대한 자세하게 답변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