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은 척추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과 인대가 퇴행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척추관 내 인대가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올라 척추관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통증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입니다.
해당되는 항목이 1~4개일 경우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5개 이상이라면 이미 중증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높아 빠른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 위의 자가진단내용은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확한 의학적 진단이 아니므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가능하면 병원에서 전문 의료진을 통해 정확히 진단 받으시길 바랍니다.
척추협착증증상과 혼동하기 쉬운 증상으로는 허리디스크증상이 있습니다. 두 질환은 통증 부위가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원인과 증상, 치료법이 모두 다릅니다. 허리협착증증상 및 허리디스크증세는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요? 그럼 허리디스크증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행성 허리디스크 환자는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 방치하게 되면 통증이 점점 악화되는 것뿐만 아니라 퇴행이 더 많이 진행되어 결국 척추관협착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허리협착증증세와 허리디스크증상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하면 척추관협착증,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심하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 척추관협착증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허리디스크는 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메이요 Dr Qu, Dr Mauck, Dr Eldrige, 모커리 김기옥 병원장(왼쪽부터) -
743명의 척추관협착증 환자 중에서도 통증 없이 평균 60m 밖에 걷지 못하는 중증 척추관협착증 환자만을 선별. 입원치료 전과 치료종료 6개월 후 호전 상태를 관찰한 결과, 한방치료군의 경우 허리와 다리통증이 완화되고 통증 없이 걸을 수 있는 보행거리가 11배 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척추관협착증이 수술 없이도 호전될 수 있다는 한방치료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한 연구라 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발표 논문 내용 자세히 보기>더보기 >
보다 많은 환자분들과 건강정보를 공유하고자 개방형 게시판으로 건강상담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목과 허리 통증•디스크•협착증•교통사고•어깨•무릎 등 궁금하신 질문을 남겨주시면 전문의가 최대한 자세하게 답변 드립니다.